줄기세포정보 및 정책

줄기세포 R&D 동향

[국내연구자 연구] 국내 연구 동향 2017년 3월

관리자

view : 2375

2017 WEB ZINE NO.1

1. 2017년 1월

Human adipose tissu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lleviate atopic dermatitis via regulation of B lymphocyte maturation.
Oncotarget. 2017 Jan 3;8(1):512-522. doi: 10.18632/oncotarget.13473.
교신저자: 서울대학교 강경선 교수
강경선 교수 연구팀은 지방유래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치료할 수 있는 세포치료제 후보물질로서의 가능성을 개발함. 보고에 따르면 지방유래 줄기세포를 주입한 마우스의 경우 혈청 IgE level이 감소하였으며, 어떠한 부작용도 관찰되지 않았다. 시험관내에서 지방유래 줄기세포와 B 림프구를 공배양했을 경우, 염증유발 인자인 COX2의 억제를 통해 B 림프구의 증식 및 성장을 억제하였을 뿐만 아니라, mast cell(비만세포)의 과립형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향 후, 아토피 피부염을 치료할 수 있는 세포치료제로 개발될 가능성이 아주 높은 것으로 기대된다.

2. 2017년 1월

Tumor-associated mesenchymal stem-like cells provide extracellular signaling cue for invasiveness of glioblastoma cells
Oncotarget. 2017 Jan 3;8(1):1438-1448. doi: 10.18632/oncotarget.13638.
교신저자: 한양대학교 이수재 교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강석구 교수
이수재/강석구 교수 연구팀은 하이알루론산이 종양미세환경에서 많은 양이 존재하며, 글리오블라스토마의 침윤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고함. 종양미세환경에서 종양연관줄기세포가 HAS2의 발현 유도를 통해 하이알루론산의 합성을 증가시키고, 이를 통해 글리오블라스토마의 침윤을 촉진하는 것을 관찰함.

3. 2017년 1월

Glioma-derived cancer stem cells are hypersensitive to proteasomal inhibition.
EMBO Rep. 2017 Jan;18(1):150-168. doi: 10.15252/embr.201642360. Epub 2016 Dec 19.
교신저자: 서울대학교 권용태 교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김보연 박사, 피츠버그 이용 교수
권용태/김보연/이용 교수 연구팀은 항암제로 사용되고 있는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제의 세포사멸 유도능력이 글리오블라스토마 유래 줄기세포에서 다른 세포에 비해 1000배정도 민감도가 높다는 사실을 보고함. 세포사멸은 JNK의 활성화와 ER stress와 관련된 전사활성화를 포함한다고 보고함. 추후 글리오블라스토마의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단백질 억제제와 UPR-coupled apoptosis에 대한 억제제의 병용 투여가 치료효과를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함.

4. 2017년 1월


CCL2 deficient mesenchymal stem cells fail to establish long-lasting contact with T cells and no longer ameliorate lupus symptoms.
Sci Rep. 2017 Jan 24;7:41258. doi: 10.1038/srep41258.
교신저자: 충북대학교 한상배 교수
중간엽 성체줄기세포가 T cell을 타겟하여 루푸스 질환을 억제하는 현상은 이미 잘 알려져 있음. 한상배 교수 연구팀은 중간엽성체 줄기세포가 활성화된 T cell을 recruiting하여 오랜기간동안 T cell을 잡아 둠으로써 활성화된 T cell의 면역반응을 억제하는 것을 관찰함. 뿐만 아니라, 다양한 adhesion molecule들의 knock-down 실험들을 통해 성체 중간엽줄기세포의 CCL2발현이 T cell과의 interaction및 면역억제에 아주 중요함을 관찰하였음. 추후 성체 줄기세포를 이용한 면역질환 치료효과를 예측하기 위한 바이오 마커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됨.

5. 2017년 2월

Effects of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co-culture on calcium-induced differentiation of normal human keratinocytes.
Stem Cells. 2017 Feb 16. doi: 10.1002/stem.2593. [Epub ahead of print]
교신저자: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김태윤 교수
고농도의 Ca++이 Keratinocyte의 비정상적인 증식 및 분화 유도를 통해 정상적인 피부구조를 파괴하는 것으로 알려짐. 김태윤 교수팀은 성체중간엽줄기세포가 고농도의 Ca++에 의해 분화된 keratinocyte에서 MAPK, PI3K/Akt 및 PKCa 경로를 조절한다는 사실을 보고함. 또한 성체중간엽줄기세포로부터 분비되는 TGFb에 의해 kearatinocyte의 증식 및 분화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관찰함. TGFb가 pRb, p21의 발현 증가를 통해 DNA 합성을 억제함으로써 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것을 관찰함. 결론적으로 성체중간엽줄기세포로부터 분비되는 TGFb가 다양한 신호전달체게의 활성화를 통해서 keratinocyte의 분화 및 증식을 조절함으로써 정상적인 피부조직 유지에 중요함을 보고함.

6. 2017년 3월

Myoblast differentiation on graphene oxide.
Biomaterials. 2013 Mar;34(8):2017-23. doi: 10.1016/j.biomaterials.2012.11.052. Epub 2012 Dec 20.
교신저자: KAIST 박찬범 교수
그래핀을 기초로한 나노물질은 약물/유전자 전달, 암치료, 이미징 및 조직공학에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다. 2D 탄소물질이 비독성이며 이식가능한 물질임에도 불구하고 myogenic differentiation에 대한 연구가 진행이 되어있지 않다. 박찬범 교수 연구팀은 그래핀 옥사이드와 환원된 그래핀 옥사이드를 이용하여 mouse myoblast인 C2C12를 이용하여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결과, 그래핀 옥사이드에서 myogenic differentiation에 중요한 유전자인 MyoD, myogenin, Troponi T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함을 관찰하였음. 본 연구결과는 향후 skeletal tissue engineering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7. 2017년 3월

Formyl Peptide Receptor 2 Is Involved in Cardiac Repair After Myocardial Infarction Through Mobilization of Circulating Angiogenic Cells.
Stem Cells. 2017 Mar;35(3):654-665. doi: 10.1002/stem.2535. Epub 2016 Nov 25.
교신저자: 부산대학교 김재호 교수
FPR2의 활성화가 허혈성 심장의 repair를 자극하는 것으로 알려짐. 김재호 교수 연구팀은 Fpr2 agonist로 알려진 WKYMVm의 구강 투여를 통해 혈중 EPC세포의 population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함. Myocardial infarction 마우스 모델에서 WKYMVm이 세포사멸을 억제하고, 혈관 면적을 넓힘으로써 심장의 기능을 보존하는 것으로 나타남. 본 연구결과는 현재 임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GCSF와 동등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향 후 허혈성 심장질환환자의 치료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8. 2017년 3월

TRBP maintains mammalian embryonic neural stem cell properties by acting as a novel transcriptional coactivator of the Notch signaling pathway.
Development. 2017 Mar 1;144(5):778-783. doi: 10.1242/dev.139493. Epub 2017 Feb 7.
교신저자: 성균관대학교 윤기정 교수
TRBP의 경우 HIV replication 과 microRNA biogenesis에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윤기정 교수 연구팀은 TRBP가 neural stem cell marker와 Notch target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함으로써 neurosphere형성에 아주 중요한 인자임을 관찰함. 또한 TRBP가 CBF1과 결합하여 Notch target gene의 발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promoter region에 다양한 전사인자들을 recruit하는 것을 관찰함. 본 연구논문은 TRBP가 포유류의 뇌 발생 과정중 neural stem cell 조절에 중요한 인자임을 밝힌 최초의 논문임.

먼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주세요.

창닫기확인